[앵커]
계엄 당일 국군방첩사령부가 경찰 국가수사본부에 수사 인력을 요청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1979년 10·26계엄 당시 경찰을 파견받아 수사권을 휘둘렀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계엄사 합동수사본부'와 꼭 닮았습니다.
최연수 기자입니다.
[기자]
계엄 선포 직후, 방첩사는 경찰청에 주요 정치인들의 위치를 추적해달라고 했습니다.
[조지호/경찰청장 (어제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 {당시에 방첩사령관이 위치추적 요청을 했죠?} 이재명 대표 그리고 (정청래)위원장님도 있었던 거 같고 하여튼 그 정도…]
방첩사의 요구는 거기 그치지 않았습니다.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방첩사가 수사 인력을 요청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체포한 국회의원 등을 조사하는 역할도 경찰에 맡기려 한 걸로 보입니다.
경찰 수사 인력 등을 파견받아 무소불위의 수사권을 휘둘렀던 1979년 10.26 '계엄사 합동수사본부' 모델을 꾀했단 의심이 나옵니다.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은 전두환이었습니다.
하지만 제주도에 있던 우종수 본부장이 "내가 서울에 도착하기 전까지 방첩사 요청에 응하지 말라"고 하며, 파견은 성사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방첩사가 경찰청 국수본과 지난 6월 업무 협약을 맺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박선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국가 내란과 비상에 대비해서 협력할 체제를 갖췄다는 것은 매우 중대한 사실입니다.]
방첩사가 이때부터 계엄을 미리 준비했는지도 앞으로 수사를 통해 확인돼야 할 부분입니다.
[영상취재 공영수 / 영상편집 강경아 / 영상디자인 신재훈]
최연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