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저비용항공사 LCC 이용과 해외여행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한국경제입니다.
◀ 앵커 ▶
참사가 발생한 어제 SNS에는 해외여행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는 글이 속속 올라왔는데요.
업계에선 국내 1위 LCC인 제주항공의 불행한 사고가 항공과 여행업계 침체로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겨울철엔 저비용항공사를 통한 동남아 여행 예약이 많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대형항공사로 갈아타거나 여행 자체를 취소할 수 있는 사례가 잇따를 수 있는데요.
이번 사고의 주원인은 조류 충돌로 추정되지만 LCC 항공기 노후화 및 정비 인력 부족 등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엄 여파에 이어 이번 사고에 외국인 사망자가 포함됐기 때문에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여행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요.
일부 여행사는 환율 급등으로 인한 여행 상품 가격 인상에 나서 장기적으로 여행 심리가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중앙일보입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사고기가 착륙 전 항공유를 소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일반 휘발유보다 화력이 강한 항공유를 충돌 전 버렸다면 화재규모가 줄어들고 인명 피해도 감소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고 기종인 보잉 737은 제작 때부터 상공에서 연료를 임의로 버릴 수 있는 연료 방출 기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 기능이 있는 타 기종들도 연료 방출 기능이 구매계약 당시 선택하는 옵션 사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화 장비를 갖춘 긴급 구조팀이 현장에 없었다는 것에도 의문이 제기되는데요.
그만큼 상황이 급박했던 건지, 아니면 비상 상황 대처에 미흡했던 건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앵커 ▶
이어서 경향신문입니다.
지난해 7월 김은희 용산시민회의 대표 등이 용산정원 출입을 신청했지만 관리 주체인 LH로부터 예약 불가 통보를 받았는데요.
김 대표 측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를 비판한 글을 SNS에 올린 뒤 출입 금지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판결문에 따르면 LH는 김 대표 측의 문제 제기가 있었던 당일 관련기관의 요청이 있으면 용산 정원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는 내용을 규정에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고요.
특정 시민을 지목해 LH에 출입을 막으라고 요청한 관련 기관은 대통령경호처였습니다.
법원은 LH의 출입 금지 조치가 위법한 내부 준칙으로 기본권을 제한했으며, 구체적 사유를 전혀 밝히지 않아 위법하다며 무효라고 판시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국일보 기사 보겠습니다.
헌정사상 초유의 '대행의 대행' 체제를 맞아 한국 외교가 총체적 위기에 빠졌다는 기사입니다.
내년 11월쯤 경주에서 열리는 APEC정상회의는 당초 한덕수 국무총리가 준비위원장을 맡았지만, 탄핵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되면서 위원장 자리가 공석이고요.
통상 5,6월쯤 대통령 명의로 보내는 APEC 초청장을 누구 명의로 보내게 될지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5개국 이상 외교 사절의 신임장이 윤 대통령과 한 총리 명의로 걸려있어 주한 외교사절 제정이 미뤄지면서 활동에 혼선을 빚고 있고요.
다음 달 20일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식에도 우리 정부는 아직 공식 초청을 받지 못한 상황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살펴보겠습니다.
동양일보인데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두고 무안공항과 규모가 닮은 꼴인 청주국제공항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청주공항의 활주로는 2,744m로 무안공항 활주로 2,800m보다 약 56m 정도가 짧은데요.
청주공항도 비상시 동체착륙하는 경우 참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충북도와 청주공항은 활주로 증설을 원하고 있지만 민군 겸용 공항이라서 군사 보안 등 각종 제약이 따라 승인을 못 받고 있고요.
특히 청주공항은 상시 대기하는 비상 대응 인력이 7명이며, 화재진압 소방차도 3대에 불과해 사고 대응력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