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로 인해 정부 기관에 도움을 요청한 피해자가 처음으로 1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딥페이크'로 합성된 음란물로 인한 피해 건수가 3배 이상 늘었는데요.
피해자의 절반 가까이는 미성년자였습니다.
조명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학 동문의 사진으로 딥페이크 음란물을 만들어 유포한 이른바 '서울대 N번방' 사건.
3년 반 동안 확인된 피해자만 61명, 합성된 영상물은 2천 개가 넘습니다.
동료인 여군의 사진을 딥페이크 음란물로 만들어 SNS에 공유하다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운영하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자는 1만 305명.
피해자가 만 명을 넘은 건 지난 2018년 센터가 문을 연 이후 처음입니다.
[박성혜/중앙디지털성범죄지원센터 삭제지원팀장]
"나도 모르게 (다른 사람들이) 이런 거를 봤다는 사실 자체에 이제 처음에 굉장히 충격적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처음 통화를 하면은 '거의 살고 싶지 않다' 정도까지 그런 상태로 저희에게 오십니다."
피해자가 늘면서 센터에서 삭제한 피해 영상물도 30만 건을 넘었습니다.
눈에 띄는 건 딥페이크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합성이나 편집으로 인한 피해가 3배 이상 급증했다는 점입니다.
피해자 대부분은 20대 이하였는데, 10대인 미성년자가 피해자의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SNS에 자신의 사진을 올리고 공유하는 게 보편화되어 있는 세대이다 보니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겁니다.
우려되는 건 오픈 AI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합성 이미지가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는 겁니다.
[박성혜/중앙디지털성범죄지원센터 삭제지원팀장]
"앱 같은 것들을 활용해서 얼굴을 합성한다거나 이제 그런 합성을 하면서 놀이 문화처럼 서로 친구도 합성하고 선생님도 합성하다가‥"
또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 4건 중 1건꼴로 피해자 이름과 주소 등 개인정보도 함께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는 17일부터는 성폭력방지법 개정안 시행으로 영상물과 함께 피해자 신상정보도 삭제할 수 있게 돼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MBC뉴스 조명아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조명아 기자(cho@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