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에 나타난 명태 떼.. 알고 보니]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수온 10도, 수심 150미터.
명태 서식의 최적 조건입니다.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그물을 당겨봅니다.
한참을 겨울 생선 대구가 올라오더니,
[ 양재형 |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 한동희 | 고성군 아야진 어민 : 과거 30~40년 전에 명태 날 때 그 크기와 같아요. ]
그렇다면 명태가 돌아온 걸까.
동해 명태는 1970~80년대만 해도 한 해 10만 톤을 오르내릴 만큼 많이 잡혔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면서 연간 어획량이 만 톤 아래로 뚝 떨어지더니, 2000년대엔 사실상 무의미한 수치가 됐습니다.
지난 2014년 정부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동해 명태를 식탁에 올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 정석근 / 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과학이라는 것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실패했다고 인정하면 됩니다.]
해양수산부가 세계 최초라고 홍보한 명태 양식 기술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치어 방류 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충일 / 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몇 년 뒤에 우리가 식탁에 올리겠다는 방향보다는 왜 이렇게 됐는지, 제2 제3의 명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쩌다 어민들의 그물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명태 자원이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범동해권에 자생하는 소수의 개체군이라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어린 명태의 남획, 기후 변화가 가져온 해수 온도 상승, 다 인간이 초래한 결과입니다.
SBS 김희남입니다.
( 취재 : 김희남 / 영상편집 : / VJ :안민신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
김희남 기자(hnki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