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고향. 그곳이 사라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어가 인구는 10만 5천 명.
어촌의 65세 이상 고령화율은 36.2%로
전국 평균치인 15.7%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전체 어촌의 84.2%가 2045년에는 소멸할 위기에 놓였다.
누군가에겐 유년이 묻힌 고향이자, 누군가는 평생을 지키고 살아가야 할 곳.
어촌마을을 다시 되살릴 수는 없을까?
■ “잘 사는 어촌마을, 우리 손으로 일군다.” _ 경기도 화성시, 백미리 마을
경기도 화성에 있는 어촌마을 백미리는 바지락, 낙지잡이 등 갯벌체험 마을로 정평이 나 있다. 매년 평균 10만 명 이상의 체험객이 방문하는가 하면, 전국의 체험 마을에서 벤치마킹을 하러 오기도 한다. 그러나 전국 1등 어촌체험 마을에도 고민이 있었다. 한 번 다녀간 체험객이 두 번 찾아오진 않는다는 것. 마을을 찾는 체험객 수는 점점 줄어 2019년에는 7.7만 명에 그쳤다. 체험객이 한 번 이상 다녀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낙후된 마을 환경이 컸다. 관광객이 쉬어갈 수 있는 휴게 및 편의시설, 숙박 시설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 1년 사이 백미리 마을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에 주민들은 요즘 살맛이 난다. 외지에서 마을을 찾는 손님들을 맞이할 준비로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마을 주민들. 백미리의 특산물인 감태, 김 등 해조류 젤라또를 만드는가 하면, 바리스타 자격증을 따서 커피도 내리고, 취미생활로 난타 공연도 연습한다. 백미항에 활기를 불어넣은 건 해양수산부에서 진행하는 ‘가고 싶고 살고 싶은 어촌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어촌뉴딜’이다. 어촌뉴딜은 고령화된 어촌마을의 기반시설을 재정비하고, 지역의 특색에 맞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발굴해서 어촌마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어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환경개선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백미항엔 체험객들을 위한 오토캠핑장과 쾌적하게 정비된 산책로, B&B하우스 등이 생겼다. 그뿐만 아니라 주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로와 해안 안전펜스가 신설되고 어획물을 보관하거나 가공하는 공동 작업장도 새로 생겼다. 마을에 기반시설이 재정비되자, 주민들은 합심해서 새로운 특산물을 개발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속속 내놓았고, 살기 좋은 백미항을 찾아오는 귀어인들도 하나둘 늘어나고 있다.
“젊은 사람들이 도로 늘어요.
죄다 바지락 잡고 굴도 따고... 살기 좋은 마을이 됐죠”
■ “청년들에게 다시 기회의 땅이 된 고향” _ 전남 신안군, 익금마을
10월부터 3월까지는 바다에서 김을 채취하는 시기다. 물때에 맞춰 캄캄한 새벽에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는 송희준(38) 씨. 15년간 도시에서 화물차를 운전했던 희준 씨는 요즘 가끔 후회가 된다. ‘좀 더 빨리 고향에 돌아올 걸 그랬다’고. 운전할 때보다 김 양식업을 하는 지금이 마음도 훨씬 편하고 수입도 열 배 이상 늘었기 때문이다. 전남 신안군 익금마을엔 희준 씨를 비롯해 고향을 떠났던 세 명의 초등학교 동창생이 10여 년 만에 다시 차례로 고향에 돌아와 김 양식업에 뛰어들었다. 지난해엔 어촌뉴딜 사업으로 고향마을의 환경이 개선되면서 양식업을 하기도 훨씬 수월해졌다. 접안시설과 방파제가 신설되면서 배를 보다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게 됐고, 수확한 김도 보다 편리하게 배에서 육지로 운송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젠 태풍이 불어도 목포까지 피항하지 않아도 되고, 조명시설도 추가로 설치돼 캄캄한 새벽에도 선착장에서 출항 준비를 하기가 한결 수월해졌다. 고향마을에서 김 양식을 한 지 올해로 4년째인 희준 씨는 귀어를 망설이는 청년들에게 하루라도 빨리 들어오라고 적극적으로 권하고 싶단다. 환경개선사업으로 늙어가던 어촌마을은 회춘했고, 청년들에겐 다시 기회의 땅이 됐다.
“젊은 사람들이 들어와야 섬이 활성화돼요.
환경은 갖춰졌으니 이제부터 저희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죠”